웹 프론트엔드 개발을 공부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React를 배우게 됩니다. 그리고 어느 순간, ‘Next.js는 React보다 더 나은 건가?’라는 질문에 도달하게 됩니다.
정답은 Next.js는 React를 더 잘 활용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프레임워크라는 겁니다. React만으로도 충분히 웹사이트를 만들 수 있지만,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정적 사이트 생성(SSG), 라우팅, API 구축 등을 할 때 Next.js가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오늘은 Next.js 입문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핵심 개념들을 차근차근 정리해 보겠습니다. 입문자의 시선으로, 하지만 현재 기준 가장 안정화된 기술 스택과 패턴을 기준으로 설명할 겁니다.
Next.js는 무엇인가? – React 프레임워크 그 이상의 의미
Next.js는 React 기반의 프레임워크입니다. React가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UI를 구축하는 라이브러리’라면, Next.js는 그 컴포넌트를 실제 서비스 수준의 웹앱으로 ‘완성’시키기 위한 툴체인입니다.
기본적으로 Next.js는 다음 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 파일 기반 라우팅
- 서버 사이드 렌더링 (SSR)
- 정적 사이트 생성 (SSG)
- API Routes (백엔드 API 개발)
- 이미지 최적화 (next/image)
- 폰트 최적화 (next/font)
- 서버 컴포넌트 (Server Components)
이 모든 기능이 “별도의 설정 없이 바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Next.js의 가장 큰 매력입니다.
Pages Router vs App Router – 2025년 기준 App Router가 기본이다
Next.js는 2023년 버전부터 App Router를 기본 라우팅 시스템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Pages 폴더에 파일을 만들어 URL을 매핑하는 방식이었지만, App Router에서는 /app 폴더 안에서 폴더와 파일로 페이지, 레이아웃, 라우트 등을 관리합니다.
App Router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 레이아웃(Layout.js) 기반 구조로 중첩 레이아웃을 쉽게 설계할 수 있다.
- 서버 컴포넌트(Server Component)가 기본값으로 적용된다.
- 동적 라우팅, 캐싱, 데이터 Fetching을 더 쉽게 통합할 수 있다.
- 폴더 구조 자체가 URL과 직결된다.
App Router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무조건 익혀야 하는 기본 개념입니다.
파일 기반 라우팅 – 폴더와 파일로 URL을 만든다
Next.js의 라우팅은 폴더와 파일 구조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app/about/page.js
파일을 만들면 /about
경로로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중요한 건 폴더명이나 파일명이 곧 URL이라는 점이죠.
동적 라우팅은 폴더명에 [변수명] 을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app/blog/[slug]/page.js
라면 /blog/hello-world
같은 URL에서 slug라는 변수로 값을 받을 수 있습니다.
폴더 안에 layout.js 파일을 추가하면 그 폴더 하위의 모든 페이지에 공통 레이아웃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App Router의 가장 큰 강점입니다.
서버 컴포넌트(Server Components)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Next.js 14 기준으로, 모든 컴포넌트는 기본적으로 서버 컴포넌트(Server Component) 입니다. React에서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만 동작하던 컴포넌트와는 다르게, 서버 컴포넌트는 서버에서 HTML을 렌더링한 뒤 클라이언트로 전달합니다.
하지만 버튼 클릭, 상태관리 등 클라이언트 인터랙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use client”
지시어를 붙여서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서버 컴포넌트를 쓰면 데이터 Fetching, SEO 최적화, 성능 개선이 가능하고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는 브라우저에서만 필요한 인터랙션만 담당하게 됩니다. 이 구조를 익히는 것이 Next.js를 이해하는 핵심 포인트입니다.
데이터 Fetching –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공식 패턴
Next.js에서는 데이터 가져오는 방법이 세 가지로 정리됩니다.
- 서버 컴포넌트에서 fetch 사용하기 (권장)
-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React Query, SWR 등으로 Fetching
- getServerSideProps, getStaticProps는 Pages Router에서만 사용
App Router에서는 서버 컴포넌트 내부에서 await fetch()
로 서버사이드 데이터를 쉽게 가져올 수 있습니다. 캐싱과 revalidation(데이터 갱신 주기 설정)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어, 별도의 API 라우트나 복잡한 설정 없이 데이터 처리의 복잡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API Routes – 백엔드 기능도 Next.js 안에서 해결할 수 있다
Next.js는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지만, API 라우트 기능을 통해 간단한 백엔드 API도 같이 만들 수 있습니다. /app/api/hello/route.js
처럼 api
폴더 내에 라우트를 만들면, HTTP 요청을 받아 서버 사이드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고 반환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데이터 처리, 외부 API 연동 같은 간단한 백엔드 로직을 Next.js 프로젝트 안에서 통합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풀스택 개발 입문자에게도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
이미지 최적화 – next/image 컴포넌트를 써야 하는 이유
Next.js에서 기본 제공하는 <Image>
컴포넌트는 자동으로 이미지 최적화(리사이징, 포맷 변경, lazy-loading)를 수행합니다. img 태그 대신 <Image>
컴포넌트를 사용하면 Lighthouse 점수가 확연히 개선되며, 브라우저에 따라 최적화된 이미지를 서빙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2025년 기준으로 이미지 최적화는 SEO와 웹 성능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기 때문에, Next.js의 <Image>
컴포넌트는 반드시 숙지하고 활용해야 합니다.
폰트 최적화 – next/font로 WebFont 문제 해결
Next.js 13 이후로는 Google Fonts 등을 사용할 때 next/font 패키지를 사용해 폰트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폰트 지연 로딩 문제를 해결하고 FOUT(글꼴 깜빡임)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폰트 로딩 최적화는 사이트의 디자인 완성도는 물론, 사용자 경험(UX)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라 반드시 적용해야 할 사항입니다.
SEO 최적화 – Head 컴포넌트와 메타 태그 관리
Next.js에서는 <Head>
컴포넌트를 사용해 각 페이지의 메타 태그, 타이틀, OG(Open Graph) 정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App Router에서는 별도의 metadata 객체를 페이지 컴포넌트 상단에서 선언하는 방식으로 더 깔끔하게 메타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되었죠.
SEO 최적화는 검색엔진에서의 노출을 좌우하는 핵심입니다. 특히 SSR과 SSG를 이용한 콘텐츠 노출 방식은 Next.js의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입니다.
글로벌 CSS vs 모듈 CSS vs TailwindCSS – 스타일링 전략
Next.js는 글로벌 CSS 파일도 지원하지만, CSS 모듈을 권장합니다. 컴포넌트별로 스타일 스코프가 구분되며, 충돌 없는 CSS 관리를 위해 CSS Module이 훨씬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또 요즘 대세인 TailwindCSS도 Next.js 프로젝트와 궁합이 좋기 때문에 선택지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TailwindCSS를 사용할 때도 Next.js에서 자동으로 tree-shaking(사용하지 않는 CSS 제거)이 적용되어 빌드 최적화에 유리합니다.
배포는 Vercel – Next.js의 최적화된 호스팅 파트너
Next.js의 제작사인 Vercel에서 직접 Next.js를 위한 배포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깃허브와 연동해 커밋만으로 자동 배포가 이루어지며, CDN, 서버리스 함수, Edge Function까지 모두 기본으로 제공됩니다.
Next.js 프로젝트를 실 서비스로 배포할 때 Vercel을 사용하면 가장 빠르고 최적화된 환경에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
Next.js를 처음 시작하는 입문자에게 – 어디서부터 공부할까?
- 공식 튜토리얼 한 바퀴 돌기 (nextjs.org/docs)
- 기본적인 App Router 폴더 구조 익히기
- 서버 컴포넌트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 차이 이해하기
- 데이터 Fetching, API Routes 연습하기
- next/image, next/font 등 내장 기능 활용해보기
- Vercel로 직접 배포하는 과정 체험하기
이 순서대로 하나씩 학습하면, React를 알지 못했던 사람도 Next.js를 통해 완성도 있는 웹앱을 만드는 것이 가능합니다.
Next.js는 단순한 프레임워크가 아니다
Next.js는 단순한 React 확장 프레임워크가 아닙니다. 웹 개발의 흐름 자체를 바꾸고 있는 ‘플랫폼’입니다. 서버사이드 렌더링, 정적 사이트 생성, API 백엔드, 이미지 최적화, 폰트 최적화, 클라이언트 최적화까지 모두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현실적인 풀스택 솔루션’인 셈이죠.
2025년 이후로는 Next.js를 몰라서는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경쟁력을 가질 수 없습니다. React만 배우고 멈추지 말고, 지금 Next.js를 손에 익히세요.
웹사이트 하나를 직접 만들어 보면서 배우는 것이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학습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