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언어 완벽 설치 방법! 윈도우와 리눅스에서 쉽게 시작하는 방법

핵심 요약

Go(Golang)는 구글에서 개발한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간단한 문법과 뛰어난 성능으로 개발자들 사이에서 급속히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윈도우와 리눅스 환경에서 Go를 설치하고 개발 환경을 구축하는 모든 과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설치부터 첫 번째 프로그램 실행까지, 초보자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왜 지금 Go를 배워야 할까요?

최근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Go 언어가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이유가 궁금하셨나요? 넷플릭스, 우버, 드롭박스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핵심 시스템을 Go로 구축하는 모습을 보면서, 많은 개발자들이 “나도 Go를 배워야 하나?”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실제로 Go는 단순함과 강력함을 동시에 갖춘 언어입니다. 복잡한 문법 없이도 고성능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고, 특히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에서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Docker, Kubernetes 같은 현대적인 인프라 도구들이 모두 Go로 만들어진 것도 우연이 아닙니다.

컴파일 속도가 빠르고 메모리 사용량이 적어서 개발 생산성이 높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또한 고루틴이라는 경량 스레드를 통해 동시성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어, 대용량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버 개발에 적합합니다.

오늘은 이런 매력적인 Go 언어를 여러분의 컴퓨터에 설치하고, 첫 번째 프로그램을 실행해보는 과정을 함께 해보겠습니다.

Go 언어의 특징과 장점

Go는 2009년 구글에서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로버트 그리즈머, 롭 파이크, 켄 톰슨이라는 컴퓨터 과학계의 거장들이 만든 언어로, C++의 복잡성을 줄이면서도 현대적인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Go의 가장 큰 특징은 컴파일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인터프리터 언어처럼 빠른 개발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컴파일 시간이 매우 짧아서 코드를 수정하고 즉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가비지 컬렉터가 내장되어 있어 메모리 관리 부담이 적고, 포인터는 있지만 포인터 연산은 없어서 안전합니다.

정적 타입 언어이지만 타입 추론 기능이 있어서 코드를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고, 인터페이스를 통한 덕 타이핑도 지원합니다. 크로스 컴파일이 쉬워서 한 번 작성한 코드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실행할 수 있다는 것도 큰 매력입니다.

설치 전 준비사항

Go 설치를 시작하기 전에 몇 가지 확인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먼저 여러분의 시스템 요구사항을 확인해보세요. Go는 다양한 운영체제를 지원하지만, 최소한의 시스템 사양이 필요합니다. 윈도우의 경우 Windows 7 이상, 리눅스는 커널 2.6.23 이상이 필요합니다. 메모리는 최소 1GB 이상을 권장하며, 디스크 공간은 약 500MB 정도면 충분합니다.

기존에 다른 버전의 Go가 설치되어 있다면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버전 충돌로 인한 문제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개발 툴체인이나 패키지 매니저를 통해 설치된 구버전이 있다면 미리 정리해두세요.

또한 인터넷 연결 상태도 확인해야 합니다. Go 모듈 시스템은 외부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는데, 이때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 기업 환경에서는 프록시 설정도 미리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환경에서 Go 설치하기

공식 웹사이트에서 다운로드

윈도우에서 Go를 설치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공식 웹사이트에서 MSI 인스톨러를 다운로드하는 것입니다. golang.org에 접속하여 Downloads 섹션으로 이동하면, 운영체제별로 구분된 설치 파일들을 볼 수 있습니다.

윈도우 사용자는 “go1.21.x.windows-amd64.msi” 파일을 다운로드하면 됩니다. 여기서 x는 최신 패치 버전 번호입니다. 64비트 시스템이 아닌 경우 386 버전을 선택해야 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컴퓨터는 64비트이므로 amd64 버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페이지에는 체크섬 정보도 함께 제공되니, 보안을 중시한다면 파일 무결성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사용자라면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안전합니다.

MSI 인스톨러로 설치하기

다운로드한 MSI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합니다. 윈도우 보안 경고가 나타날 수 있는데, “실행”을 클릭하여 계속 진행하세요. 이는 디지털 서명이 없는 프로그램에 대한 일반적인 경고입니다.

설치 마법사가 시작되면 “Next”를 클릭하여 진행합니다. 라이선스 동의 화면에서는 “I accept the terms in the License Agreement”를 체크하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Go는 BSD 스타일의 오픈소스 라이선스를 사용하므로 상업적 사용에도 제한이 없습니다.

설치 경로는 기본값인 “C:\Program Files\Go”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다른 경로를 사용하고 싶다면 “Change” 버튼을 클릭하여 변경할 수 있지만, 나중에 환경변수 설정에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히 경로에 공백이나 특수문자가 있으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Install”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가 시작됩니다. 관리자 권한을 요청하는 UAC 창이 나타나면 “예”를 클릭하여 권한을 허용해주세요. 설치 시간은 보통 1-2분 정도 걸립니다.

환경변수 설정

설치가 완료되면 환경변수를 확인해야 합니다. 최신 버전의 Go 설치 프로그램은 자동으로 PATH 환경변수를 설정해주지만, 직접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윈도우 검색창에 “환경 변수”라고 입력하고 “시스템 환경 변수 편집”을 선택합니다. “고급” 탭에서 “환경 변수”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 창에서는 사용자별 변수와 시스템 변수를 모두 관리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 변수 영역에서 “Path”를 찾아 선택하고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목록에 “C:\Program Files\Go\bin”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없다면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여 해당 경로를 추가합니다.

GOPATH 환경변수도 설정해야 합니다. Go 1.11 이후부터는 모듈 시스템이 기본이지만, 여전히 GOPATH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용자 변수에서 “새로 만들기”를 클릭하고, 변수 이름에 “GOPATH”, 변수 값에는 작업할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합니다.

Chocolatey를 이용한 대안 설치법

패키지 매니저를 선호하는 개발자라면 Chocolatey를 이용해서도 Go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choco install golang” 명령을 입력하면 됩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업데이트와 제거가 간편하다는 것입니다. “choco upgrade golang”으로 쉽게 업데이트할 수 있고, “choco uninstall golang”으로 완전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공식 인스톨러보다 약간 늦게 업데이트되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세요.

리눅스 환경에서 Go 설치하기

패키지 매니저를 이용한 설치

리눅스에서는 배포판의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편리합니다. 우분투나 데비안 계열에서는 “sudo apt update && sudo apt install golang-go” 명령을 사용하고, CentOS나 RHEL에서는 “sudo yum install golang”을 사용합니다.

최신 버전의 Fedora에서는 “sudo dnf install golang”을, 아치 리눅스에서는 “sudo pacman -S go”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각 배포판마다 패키지 이름이 약간씩 다를 수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패키지 매니저를 통한 설치의 장점은 간편하고 의존성 관리가 자동으로 처리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시스템 업데이트와 함께 Go도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하지만 항상 최신 버전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안정성을 중시한다면 이 방법을, 최신 기능을 사용하고 싶다면 수동 설치를 권장합니다.

수동 설치 방법 (권장)

최신 버전의 Go를 설치하려면 공식 웹사이트에서 타르볼을 다운로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기존 Go 설치를 제거하고 새로운 버전을 “/usr/local” 디렉토리에 설치합니다. 이때 sudo 권한이 필요하니 주의하세요. ARM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라즈베리 파이 같은 시스템에서는 arm64 버전을 다운로드해야 합니다.

설치 후에는 다운로드한 압축 파일을 삭제해서 디스크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설치 디렉토리의 권한을 확인해서 일반 사용자도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환경변수 설정

Go 바이너리가 설치되었다면 PATH 환경변수에 추가해야 합니다. 홈 디렉토리의 .bashrc 파일에 “/usr/local/go/bin”을 PATH에 추가하는 내용을 작성합니다.

zsh를 사용한다면 .bashrc 대신 .zshrc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zsh를 기본 셸로 사용하고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GOPATH도 설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홈 디렉토리 아래에 “go”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사용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Go 도구들과 사용자가 설치한 패키지들이 올바르게 작동합니다.

설정을 완료한 후에는 “source ~/.bashrc” 명령을 실행하거나 새 터미널을 열어야 변경사항이 적용됩니다.

설치 확인 및 첫 번째 프로그램

설치 검증

설치가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터미널이나 명령 프롬프트를 새로 열고 “go version” 명령을 입력합니다.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다면 Go의 버전 정보가 출력됩니다.

“go env” 명령어를 사용하면 더 자세한 환경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GOPATH, GOROOT, GOOS, GOARCH 등 Go 개발에 필요한 모든 환경변수들을 보여줍니다. 특히 GOROOT는 Go가 설치된 경로를, GOPATH는 작업 공간 경로를 나타냅니다.

만약 명령어가 인식되지 않는다면 PATH 환경변수 설정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터미널을 재시작하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해보세요.

첫 번째 프로그램 작성

이제 첫 번째 Go 프로그램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적절한 위치에 새 폴더를 만들고 hello.go 파일을 생성합니다. 윈도우에서는 메모장이나 VS Code 같은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할 수 있고, 리눅스에서는 nano, vim, 또는 gedit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 프로그램은 반드시 package 선언으로 시작해야 하고,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은 main 패키지여야 합니다. fmt 패키지를 임포트해서 출력 함수를 사용할 수 있고, main 함수가 프로그램의 진입점 역할을 합니다.

간단한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작성해서 Go의 기본 구조를 이해해보세요. 이 프로그램은 매우 간단하지만 Go 프로그래밍의 기본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프로그램 실행과 컴파일

작성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go run” 명령어를 사용하면 컴파일과 실행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개발 중에 매우 편리합니다.

“go build” 명령어를 사용하면 실행 파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성된 파일은 다른 컴퓨터에서도 실행할 수 있어서 배포에 유용합니다. 윈도우에서는 .exe 확장자가 자동으로 붙습니다.

Go의 컴파일 속도는 매우 빠릅니다. 몇 천 줄의 코드도 몇 초 만에 컴파일할 수 있어서, 다른 컴파일 언어에 비해 개발 생산성이 높습니다.

개발 환경 구축하기

에디터와 IDE 선택

Go 개발을 위해서는 적절한 에디터나 IDE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Visual Studio Code는 무료이면서도 강력한 Go 확장을 제공합니다. 확장을 설치하면 문법 하이라이팅, 자동 완성, 디버깅, 테스트 실행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GoLand는 JetBrains에서 만든 상용 Go 전용 IDE입니다. 유료이지만 매우 강력한 기능들을 제공하며, 대규모 프로젝트 개발에 적합합니다. 리팩토링, 코드 분석,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 전문적인 개발 도구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Vim이나 Neovim 사용자라면 vim-go 플러그인을 추천합니다. 터미널 환경에서 효율적인 Go 개발이 가능하고, 키보드만으로 모든 작업을 처리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높습니다.

최근에는 GitHub Copilot 같은 AI 코딩 도우미들도 Go를 잘 지원하므로, 이런 도구들을 활용하면 더 빠르게 개발할 수 있습니다.

Go 모듈 시스템 이해

Go 1.11부터 도입된 모듈 시스템은 의존성 관리를 혁신적으로 개선했습니다.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는 “go mod init” 명령어로 모듈을 초기화합니다. 이 명령은 go.mod 파일을 생성하며, 이 파일에는 모듈의 이름과 Go 버전, 의존성 정보가 저장됩니다.

외부 패키지를 사용할 때는 “go get”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명령은 패키지를 다운로드하고 go.mod 파일에 의존성을 자동으로 추가합니다. go.sum 파일은 다운로드한 패키지들의 체크섬을 저장해서 보안을 강화합니다.

모듈 시스템은 GOPATH에 의존하지 않고 어디서든 Go 프로젝트를 만들 수 있게 해줍니다. 이는 개발 환경 설정을 크게 단순화했고, 버전 관리를 더 정확하게 할 수 있게 했습니다.

자주 발생하는 문제 해결

환경변수 관련 문제

가장 흔한 문제는 PATH 환경변수가 제대로 설정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go” 명령어를 인식하지 못한다면 먼저 터미널을 재시작해보세요. 그래도 안 되면 시스템을 재부팅하거나 환경변수 설정을 다시 확인해야 합니다.

윈도우에서는 환경변수 설정 후 새 명령 프롬프트를 열어야 변경사항이 적용됩니다. 리눅스에서는 “source ~/.bashrc” 명령을 실행하거나 새 터미널을 열어야 합니다.

권한 문제

리눅스에서 /usr/local 디렉토리에 설치할 때 권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udo를 사용하여 관리자 권한으로 설치해야 하고, 설치 후 해당 디렉토리의 소유권을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Go를 사용하려면 홈 디렉토리에 설치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이 경우 GOROOT 환경변수를 적절히 설정해야 합니다.

네트워크 및 프록시 설정

기업 환경에서는 프록시 설정으로 인해 “go get”이나 “go mod download”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GOPROXY 환경변수를 설정하거나, HTTP_PROXY와 HTTPS_PROXY 환경변수를 설정해야 할 수 있습니다.

중국이나 일부 국가에서는 golang.org에 접근이 제한될 수 있는데, 이때는 goproxy.cn 같은 미러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버전 충돌 및 정리

여러 버전의 Go가 설치되어 있으면 예상치 못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which go” 명령어로 어떤 바이너리가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필요 없는 버전은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패키지 매니저로 설치한 구버전과 수동으로 설치한 신버전이 충돌하는 경우가 많으니, 설치 전에 기존 설치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다음 단계와 학습 방향

Go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이제 본격적인 학습을 시작할 차례입니다. Go Tour를 통해 언어의 기본기를 익히고, 공식 문서를 참고하여 심화 학습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온라인에서 무료로 제공되는 대화형 튜토리얼이므로 부담 없이 시작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웹 서버를 만들어보거나 CLI 도구를 개발해보는 것도 좋은 연습이 됩니다. Go의 강력한 표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면 복잡한 외부 의존성 없이도 많은 것들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커뮤니티 참여도 중요합니다. Go 한국 사용자 그룹이나 Reddit의 r/golang, Stack Overflow 등에서 다른 개발자들과 소통하며 경험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것도 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Go는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언어입니다. 오늘 설치한 환경을 바탕으로 꾸준히 학습하고 실습한다면, 현대적이고 효율적인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실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나 클라우드 네이티브 개발 분야에서는 Go가 거의 필수가 되어가고 있으니, 지금 시작하는 것이 좋은 투자가 될 것입니다.

#Go언어 #Golang #프로그래밍언어설치 #개발환경구축 #윈도우Go설치 #리눅스Go설치 #Go시작하기 #백엔드개발 #시스템프로그래밍 #클라우드개발

Leave a Comment